2025년부터 국가건강검진 항목이 일부 개편되며, 보다 실질적이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. 매년 또는 격년으로 진행되는 이 검진은 국민 모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, 조기 진단 및 예방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국가건강검진 대상자
2025년 기준, 국가건강검진의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만 20세 이상 성인 – 주민등록상 생년 기준으로 짝수/홀수 연도에 따라 2년마다 실시
- 의료급여 수급자, 지역가입자 – 건강보험 자격에 따라 자동 대상자 포함
- 직장가입자 – 회사 또는 공공기관을 통해 정기적으로 안내받음
2025년 건강검진 항목 구성
2025년부터 적용되는 기본 검사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검사 항목 | 검사 내용 |
---|---|
기초 검사 | 신장, 체중, 허리둘레, 혈압, 시력, 청력 등 |
혈액 검사 | 공복 혈당, 간기능(AST, ALT), 지질검사(HDL, LDL, 총콜레스테롤), 빈혈 |
요 검사 | 단백뇨 검사로 신장 질환 여부 확인 |
흉부 X선 | 결핵, 폐렴 등 폐 질환 조기 발견 |
B형간염 검사 | 항원·항체 검사 (1회) |
인지기능 검사 | 만 66세 이상 대상, 치매 조기 진단 |
달라진 점 정리
- 당뇨 조기 진단 강화를 위해 혈당검사 주기 조정
- 인지기능 검사 대상을 확대하여 초기 치매 예방 강화
- 기존 항목 유지하면서도 개인 맞춤형 검사 항목 제안 도입
검진 결과 확인 및 활용
검진 후 결과는 마이헬스웨이(MyHealthWay) 앱 또는 병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최근에는 전자건강기록을 통해 개인 건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, 병원 방문 시 과거 기록과 비교도 용이해졌습니다.
정기적인 건강검진은 질병 예방의 시작입니다. 특히 무증상 질환인 고혈압, 고지혈증, 당뇨병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 만큼, 2년마다 진행되는 국가검진을 적극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.